본문 바로가기

건축/건축계획

[건축기사] 건축계획_건축사 | 한국건축사


한국건축사

건축사 | 한국건축사 

1. 시대별 주요 건축물 

1-1. 고구려 

  1. 청암리 사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가람 형식으로서 일탑삼금당식 가람배치 
  2. 분묘건축 : 장군총, 석조총
가람: 승려와 선도들이 모여 사는 곳, 구성으로는 탑, 금당(불상), 강당(승려기거)

1-2. 백제

  1. 미륵사지 (7세기 초): 동, 서원에는 석탑을 두고, 중원에는 목탑을 둠
  2. 정림사지 (7세기 초): 전형적인 백제의 일탑일금당식 가람배치 

1-3. 신라 

  1. 황룡사(지): 동양 최대 규모, 일탑식 가람배치, 고려시대 몽고에 의해 불타 없어짐
  2. 분황사: 분황사 모전석탑 - 신라의 가장 오래된 석탑
  3. 첨성대: 천문과 기후를 관측하는 동양 최고의 석탑

1-4. 통일신라시대 

  1. 감은사지: 이탑식 가람배치, 감은사지 석탑 (682년)
  2. 불국사: 이탑식 가람배치, 불국사 3층 석탑 (752년)
  3. 화엄사 4사자석탑

1-5. 고려시대 

  1. 봉정사 극락전: 한국의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부석사 조사당 (1377년)보다 100~150년  앞선 것으로 추정
  2. 부석사 무량수전(1270년): 주심포계 팔작지붕, 아름다운 건축물로 손꼽힘. 
  3. 수덕사 대웅전 : 고려 충렬왕 34년 (1308년)에 지은 건물로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앞면 3칸, 옆면 4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을 하고 있음

1-6. 조선시대 

  1. 서울의 남대문 (1448년) 
  2. 양산 통도사: 3개 영역 형식의 종속형으로 비대칭 균형을 이룸 
  3. 법주사 팔상전 (1624년) : 법주사 5층 목탑

1-7. 근대 

  1. 서울역 역사 (1922~1925년): 비잔틴풍의 돔(Pendantive Dome)을 올린 르네상스 양식 
  2. 조선총독부청사(1916~1926년): 철근콘크리트 석조 구조의 르네상스 양식 지금은 사라짐.
  3. 약현성당 (1893년, 현 중림동 성당):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벽돌조 3랑식 고딕양식
  4. 명동성당: 고딕양식 
  5. 덕수궁 정관헌: 전통 목조 건축 요소와 서양적인 요소가 결합된 절충식 건축물
  6. 서울 성공회성당 :  로마네스크양식

덕수궁 정관헌, 출처: 문화재청

1-8.  근 현대 대표적 건축가와 작품 

  1. 박길용: 화신백화점, 한청빌딩
  2. 박동진: 고려대학교 본관 및 도서관
  3. 이광노: 어린이회관, 중국대사관 
  4. 김중업: 삼일로빌딩 (미스 반 데 로에의 시그램 빌딩 축소판), 명보극장, 주불대사관
  5. 김수근: 국회의사당, 국립부여박물관, 자유센터, 경동교회 

2. 고전건축양식 

2-1. 주심포양식

건축 양식의 특징 

  1. 고려시대 중기 중국 송나라로부터 전래되어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에 성행된 목조 건축 양식 
  2. 공포의 출목은 2출목 이하 
  3. 기둥 위에 주두를 놓고 공포를 배치함 
  4. 내부 천장구조: 연등 천장 (서까래 노출)
  5. 소로는 비교적 자유스럽게 배치됨 (우미량을 사용)
  6. 다포 양식에 비해 간결하고 단순하며 직선적인 느낌
  7. 주로 맞배 지붕을 사용

주요 건축물

고려시대 조선시대 초기
경북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조사당
충남 예산 수덕사 대웅전 
황해 황주 성불사 극락전
강릉 객사문
경북 경천 은해사 거조암 여산전
전남 강진 무위사 극락전
전남 영암 도갑사 해탈문

2-2. 다포양식

건축 양식의 특징 

  1. 고려 시대 말기 중국 원나라로부터 전래되어 조선시대 전반에 성행한 목조 건축 양식으로 궁궐의 정전이나 사찰의 주불전 등 주요 건물에 주로 사용함. 
  2. 공포의 출목: 2출목 이상 
  3. 기둥 위에 창방과 평방(대들보)을 놓고 그 위에 공포를 배치함 
  4. 내부 천장구조: 우물 천장
  5. 소로는 상하로 동일 수직선에 위치를 고정함 
  6. 주심포양식에 비해 곡선적이며 장식적이며  화려한 느낌
  7. 주로 팔작 지붕을 사용 
팔작지붕: 맞배지붕이나 우진각지붕보다 복잡하나 외관상 위용이 궁궐건축과 사찰건축에 있어 정전(正殿), 금당(金堂) 같은 중심이 되는 건축에 즐겨 사용

주요 건축물 

고려시대 조선시대 초기 조선시대 중기 조선시대 후기
삼원사 보광전
석왕사 웅진전
경천사 10층 석탑
서울 남대문
봉정사 대웅전
신륵사 조사당
창덕궁 명전전
전등사 대웅전
내소사 대웅전
창덕궁 돈화문
화엄사 각황전
서울 동대문
불국사 극락전
경복궁 근정전
덕수궁 중화전
창덕궁 인정전

📌 주심포식 과 다포식 비교

특징 주심포식 다포식
공포의 출목 2출목 이하 2출목 이상
공포의 배치 기둥 위에 주두를 놓고 배치 기둥위에 창방과 평방을 놓고 그 위에 공포 배치
내부 천장구조 연등천장: 노출천장 우물천장:  '#' 자형 마감천장
소로의 배치  비교적 자유스럽게 배치 상하로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를 고정
기타 마루대공 좌우에 소슬 사용, 우미량 사용   
주요 건축물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조사당 
수덕사 대웅전
성불사 극락전
강릉 객사문 

무위사 극락전
도갑사 해탈문
은해사 거조암 여산전 
삼원사 보광전 
석왕사 웅진전
경천사 10층석탑
서울 남대문 
봉정사 대웅전
신륵사 조사당
창덕궁 명전전
전등사 대웅전
내소사 대웅전
창덕궁 돈화문
화엄사 각황전
서울 동대문
불국사 극락전 
경복궁 근정전
덕수궁 중화전
창덕궁 인정전


3-3. 익공양식

조선시대 초부터 향교, 서원, 사당 등의 유교 건축물이나 궁궐과 사찰의 침전, 누각, 회랑 등 주요 건물이 아닌 부속 건물에 주로 사용 됨

 

건축 양식의 특징 

  1. 평방이 생략됨 
  2. 주심포양식이 단순화되고 간략화된 공포양식으로 초기의 익고은 간략한 초각에서 후기에는 장식화되어 가는 경향임
  3. 내부는 출목이 없이 보아지를 꾸미는 것이 보통임

주요건축물 

조선시대 초기 조선시대 중기 조선시대 후기
강릉 오죽헌
옥산성원 독락당
서울문묘 명륜당
종묘정전 및 영령전
서울 동묘
경복궁 경회루 
수원 화서문

4-4. 절충양식 

건축 양식의 특징 

  1. 조선시대에 들어서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이 혼합되는 경향이 발생함
  2. 한 건물내에서 두 가지 공포양식의 건축기법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함

주요 건축물

조선시대 초기 조선시대 중기 조선시대 후기
평양 보통문
개심사 대웅전
  전등사 약사전

 

Cf. 지붕양식 

지붕 양식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각지붕 모임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형태. 네면에 모두 지붕면이 있고 용마루와 추녀마루로 구성된 지붕으로서, 전후 지붕면은 사다리꼴이고 양측 지붕면은 삼각형, 원초적인 지붕 형태로 원시 움집에서 부터 사용. 가장 완비된 지붕형식으로 외관상 위용이 궁궐건축과 사찰건축에 있어 정전(正殿), 금당(金堂) 같은 중심이 되는 건축에 즐겨 사용됨. 추녀마루로만 구성되고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짓점에서 지붕골이 만나는 지붕형태.

Cf. 주요 용어 정리

용어 특징
공포 포작 또는 두공이라함.
상부하중이 벽이나 개부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 
구성: 주두, 첨차, 살미첨자, 소로
첨차 주두나 소로 위에 도리방향으로 얹히는 부재 
행공첨차: 부석사 무량수전의 경우 외목도리를 받기 위해 생긴 첨차
우미량 도리를 연결하는 곡선형 보
포작 공포를 짜서 꾸미는 일 또는 짜맞추는 것
문루 궁문, 성문, 지방관청 등의 바깥 문 위에 세운 다락집
소로 주두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작은 형태, 소로의 밑사면을 굽이라 하고, 소로를 받치는 판을 굽받침이라 함.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본 글